
글로벌경영학회지 원고작성지침
2004. 7. 1 제 정
2006. 7. 13 부분수정
2008. 6. 21 부분개정
2016. 11. 26 부분개정
2019.6.8 부분개정
2020.3.1 부분개정
2025. 8. 21 부분개정
[원고작성 지침]
1. 원고는 한글로 A4용지 20매 내외로 작성하여야 한다.
2. 논문의 구성은 아래의 순서에 따른다.
(1) 원고 제1면에는 논문의 한글제목(본문이 외국어인 경우에는 영문제목), 논문의 영문제목(본문이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제목), 저자의 이름, 소속(직위 포함), 이메일 주소를 기재한다. 또한 400단어 이내의 국문초록(본문이 외국어인 경우는 영문초록)과 3~5개 정도의 주제어(Keyword)를 표기하되, 한글초록 밑에는 한글로, 영문초록 밑에는 영문으로 표시한다.
(2) 원고 제2면부터 본문을 기입한다.
3. 본문 작성 형식은 학회지 투고양식 파일의 원고 작성 예시를 참고하고, 반드시 지정된 스타일 박스를 적용하여 작성한다.
4. 저자정보의 소속 표기 방법
기관 | 직위/직책 | 국문표기 | 영문표기 |
대학 | 교수 | (조/부)교수 | (Assistant/Associate) Professor |
대학강사 | 강사 | Instructor | |
대학박사 후 연구원 | 박사 후 연구원 | Postdoctoral researcher | |
대학학생 | 박사수료(ABD) | Ph.D. candidate | |
대학학생박사과정 | Ph.D. student | ||
대학학생석사과정, 석사수료 | Master’s student | ||
대학학생학부과정 | Undergraduate student | ||
초중등학교 | 교사 | 교사 | Teacher |
초중등학교학생 | 학생 | Student | |
연구기관 | 연구원 | (선임/책임/수석/객원 등) 연구원 | (Assistant/Associate/Senior/Principal /Visiting 등) researcher |
연구기관연구위원 | (선임/책임/수석/객원 등) 연구위원 | (Assistant/Associate/Senior/Principal /Visiting 등) research fellow | |
기타 | 기업 소속 등 | 기관 내 직위 | 기관 내 직위 |
기타무소속 | 독립연구자 | Independent researcher |
5. 본문 중 문헌인용의 경우 기본적으로 APA 양식을 따른다. 이름과 발표년도를 표기하며, 특정 부분을 직접 인용한 경우에는 페이지도 함께 기재한다.
■ 간접인용 문장형: 국문의 경우, 2인은 1저자 와/과 2저자, 3인 이상은 1저자 외로 표기하며, 외국어문헌의 경우 2인은 1저자 and 2저자, 3인 이상은 1저자 et al. 로 표기한다.
저자 수 | 표기법 | 예시 문장 |
1명 (국문) | 박철수(2021) | 박철수(2021)는 지속가능성을 강조하였다. |
1명 (영문) | Smith (2021) | Smith (2021) emphasized sustainability. |
2명 (국문) | 박철수와 박영희(2021) | 박철수와 박영희(2021)는 ESG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
2명 (영문) | Smith and Jones (2020) | Smith and Jones (2020) discussed the role of ESG. |
3명 이상 | 박철수 외(2020) | 박철수 외(2020)는 공급망 회복력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3명 이상 | Smith et al. (2019) | Smith et al. (2019) highlighted supply chain resilience. |
■ 간접인용 괄호형: 2명의 경우 1저자 & 2저자, 3명 이상의 경우 국문은 1저자 외, 외국어문헌은 1저자 et al. 로 작성
저자 수 | 표기법 | 예시 문장 |
1명 (국문) | (박철수, 2021) | 지속가능성은 중요하다 (박철수, 2021). |
1명 (영문) | (Smith, 2021) | Sustainability is critical (Smith, 2021). |
2명 (국문) | (박철수 & 박영희, 2021) | ESG는 주목받고 있다 (박철수 & 박영희, 2021). |
2명 (영문) | (Smith & Jones, 2020) | ESG is gaining attention (Smith & Jones, 2020). |
3명 이상 (국문) | (박철수 외, 2020) | 공급망 안정성이 중요하다 (박철수 외, 2020). |
3명 이상 (영문) | (Smith et al., 2019) | Supply chain resilience is key (Smith et al., 2019). |
■ 직접인용: 간접인용 표기에서 연도뒤에 쪽수를 쉼표로 연결하여 작성
구분 | 표기법 | 예시 문장 |
괄호형 (국문) | (박철수, 2021, p. 45) | “디지털 전환은 생존 전략이다” (박철수, 2021, p. 45). |
괄호형 (영문) | (Smith, 2021, p. 45) | “Digital transformation is a matter of survival” (Smith, 2021, p. 45). |
문장형 (국문) | 박철수(2021, p. 45) | 박철수(2021, p. 45)는 “디지털 전환은 생존 전략이다”라고 언급하였다. |
문장형 (영문) | Smith (2021, p. 45) | Smith (2021, p. 45) stated, “Digital transformation is a matter of survival.” |
6. 참고문헌 작성
참고문헌 작성은 기본적으로 APA 양식을 따른다 (대부분의 서지 작성 프로그램 내 APA 7th edition 설정에 해당한다). 기재순서는 국문문헌, 외국어문헌의 순서로 하며, 저자명에 따라 국문문헌의 경우 가나다순으로, 영문문헌은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 기본 형식
저자. (연도). 논문 제목. 저널명, 권(호), 페이지. DOI/URL
DOI 또는 URL은 있는 경우 포함
대부분의 서지 작성 프로그램 내 APA 7th edition 설정을 바탕으로 작성
구두점 (쉼표, 마침표 등)과 이탤릭체에 유의하여 작성
문헌의 언어 및 저자 수에 따라 아래 내용 저자 표기 규칙을 참고하여 작성
■ 저자 표기 규칙
구분 | 표기법 | 예시 문장 |
국문 (1명) | 성이름 전체 | 박철수. |
국문 (2명 이상) | 쉼표로 구분 | 박철수, 박영희. / 박철수, 박영희, 김지민. |
영문 (1명) | 성, 이니셜 | Smith, J. A. |
영문 (2명) | 저자명 사이에 쉼표 없이 & 사용 | Smith, J. A. & Jones, R. B. |
영문 (3–20명) | 모든 저자마다 쉼표로 구분, 마지막 저자 앞에 & 추가 사용 | Smith, J. A., Johnson, K. L., & Lee, M. K. |
영문 (21명 이상) | 처음 19명 + … + 마지막 저자 + & | Smith, J. A., …, & Kim, S. H. |
■ 자료 유형별 표기법 및 예시
학술지 논문
형식: 저자. (연도). 논문 제목. 저널명, 권(호), 페이지.
국문 예시:
박철수, 박영희. (2022). ESG 경영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연구, 35(2), 15–32.
영문 예시:
Smith, J. A., & Jones, R. B. (2021). Strategic agility in global marke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45(2), 123–140. https://doi.org/10.1016/j.jibus.2021.03.001
단행본 (책)
형식: 저자. (연도). 도서 제목. 출판사.
국문 예시:
박철수. (2021). 디지털 전환과 경영 전략. 박영사.
영문 예시:
Smith, J. A. (2020). Global business strategies. Oxford University Press.
학위논문
형식: 저자. (연도). 논문 제목 (학위종류, 소속 기관).
국문 예시:
박영희. (2020). 지속가능경영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영문 예시:
Lee, H. J. (2021). Innovation in global logistic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웹사이트/보고서
형식: 저자 또는 기관. (연도). 문서 제목. URL
국문 예시:
통계청. (2023). 2022년 고용동향 보고서. https://kostat.go.kr/...
영문 예시:
OECD. (2023). Future of work in digital economies. https://www.oecd.org/future-of-work
7. 부록이 있는 경우 장을 달리하여 기재한다.
8. 영문초록(600단어 이내)과 3~5개 정도의 Keywords를 영문으로 표기하되 본문이 외국어인 경우는 400단어 내외의 국문초록으로 기재한다.